♥경주♥남산♥ 95

경주함월산-천년고찰 기림사의 산

◈일 자 : 2017. 5.28(일)◈대상산 : 함월산(584m)◈코 스 : 기림사~용연폭포(1.3Km)~왕의길갈림길(0.5Km)~민가경작지(1.0Km)~폐가~삼각점(3.0Km)~함월산정상(2.5Km)~갈림길(0.5Km)~불령봉표(왕의길1.5Km)~용연폭포(0.9Km)~기림사주차장(1.3Km) /산행거리 약 12.5Km ▼산행중 숲에 가려진 산세는 가끔씩 보여주는 함월산 환종주코스는 낙엽과 우거진숲으로 길찾기 쉽지않아 환종주코스는 험로나 없는길을 간다는 각오로 시작해야 한다. ▼기림사 삼천불전 ▼기림사 삼성각옆으로 가면 왕의길 지점이 나온다  ▼기림정자   ▼에 의하면 만파식적과 옥대를 얻어서 궁궐로 돌아가던 신문왕은 계곡에서 마중 나온 태자 이공을 만난다. 태자는 옥대의 장식에 새겨진 용이 진짜임을 알..

고위봉-경주의 남산

◈일 자 : 2017. 5.21(일)◈대상산 : 고위봉(494m)◈코 스 : 용장주차장~갈림길(0.3Km)~이무기능선~고위봉(1.7Km)~열반재(0.7Km)~남산초가집식당(0.3Km)~열반재(0.3Km)~관음사(0.4Km)~용장주차장(1.5Km) / 산행거리 5.2Km     ▼용장주차장내 쉼터에서 커피한잔과 공방관람 가능    ▼용장골 출렁다리 ▼경주 남산 쌍봉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▼경주 남산 관음사 뒤편의 큰곰바위 ▼김시습이 경주 금오산에 머무르면서 지은 한문소설 금오신화 5편중 하나인 취유부벽정기는 술에 취해 부벽정에서 놀다 생긴 남녀애정의 사연 기록     ▼해발300m 천룡사지(내남면 용장리)주변에 있는 '남산초가집'에서 점심 ▼남산초가집의 옛모습

함월산 왕의길-숲이 좋은 신문왕 호국행차길

◈일 자 : 2017. 5.13(토)◈대상지 : (경주)함월산 왕의길◈코 스 : 추원마을표지석~추원마을(0.4Km)~추원사갈림길(0.4Km)~주차장(0.3Km)~왕의길시작점(1.4Km)~수렛재(1.4Km)~용연폭포(2.5Km)~기림사(1.2Km) / 산행거리 약 7.6Km / 산행시간 약2시간(휴식제외) / 기림사~추원사(택시이용 054-745-2025) ▼신문왕의 행차는 추령을 넘지 않고 함월산 쪽에 숨어 있는 수렛재로 이어진다. ▲이정표를 따라가면 좁은 시멘트 길이 나오는 여기가 모차골인데, 마차가 들어올 수 있는 골짜기라고 '마차골'에서 모차골로 변했다고 한다.▼추원마을 표지석에서 추원마을까지 400m정도 가야된다 ▼승용차로 마을길따라 약 1.1Km 들어오면 왕의길 주차장이 있다 ▼트레킹중에 볼 수..

경주여행 벚꽃필 무렵 가볼만한 곳

◈일 자 : 2017. 4. 8(토)◈대상지 : 흥무로~석장동암각화~금장대 ▼흥무대왕의 별칭을 갖고있는 김유신장군 묘지가는 길에 있는 경주시 흥무로 벚꽃터널 ▼경주시 충효동 김유신(金庾信) 장군 사당주변을 꾸며놓은 공원   ▼김유신장군묘 주차장 관광안내도에 있는 설명문     ▼석장동암각화 가는길 ▼석장동 금장대 석벽에 새겨져 있는 청동기시대의 바위그림       ▼신라 자비왕때 연회를 즐기던 곳으로 추정되는 금장대는 최근에 다시 지었다(2012.9.4준공) ▼금장대에서 본 흥무로 벚꽃길  ▼금장대에서 본 형산강 ▼동대교에서 본 금장대

송화산-경주 국립공원의 산

◈일 자 : 2017. 4. 8(토)◈대상산 : 송화산(276m)◈코 스 : 김유신장군묘 주차장~전망대(0.7Km)~송화산쉼터(0.2Km)~옥녀봉(0.9Km)~송화산쉼터(0.9Km)~주차장(0.9Km) / 산행거리 3.6Km / 산행시간 1시간 40분 ▼김유신장군묘 주차장 길 ▼송화산 산행 출발지점  ▼전망대에서 본 형산강과 경주시가지   ▼송화산 쉼터 이정표 ▼체육시설로 만들어진 송화산 쉼터  ▼송화산 벚나무군락지의 꽃이 떨어지면서 눈이 쌓이는 듯하다     ▼송화산 벚(꽃)나무군락지   ▼삼국유사>에 의하면 김유신이 죽자 흥덕왕(興德王)은 그를 흥무대왕(興武大王)으로 받들고, 왕릉의 예를 갖춰 무덤을 장식한 것으로 보인다. ▼에는 김유신이 죽자 문무왕이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르고 그의 공덕을 기리는 ..

금오산-경주 남산 봉우리중 하나

◈일 자 : 2017. 3. 25(토)◈대상산 : 금오봉(468m)~사자봉(432m)◈코 스 : 통일전~옥룡암갈림길(0.9Km)~임도(포석정)갈림길(0.1Km)~팔각정~금오산(1.3Km)~사자봉(432m)~옛팔각정터~부석~탁자바위~통일전주차장(2.9Km) / 산행거리 5.2Km(산행시간 약2시간30분) ▼금거북이가 서라벌 깊숙이 들어와 편하게 앉아 있는 형상이라고 하는 금오산. ▶세조의 왕위 찬탈에 통분한 김시습이 7년간 이 산의 용장사에 은거하면서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집인 금오신화(金鰲新話)》를 지었다 ▼통일전옆 산행출발지점 ▼생강나무 군락지 ▼옥룡암갈림길 이정표 ▼팔각정앞 암릉 ▼경주남산 팔각정  ▼팔각정에서 본 건너편능선의 상사바위  ▼상사바위(2011년 촬영)  ▼국사골 상사바위의 전설 ▼부석에서..

무장봉-은빛물결 경주의 산

◈일 자 : 2016. 9. 25(일)◈대상산 : (경주)동대봉산 무장봉(624m)◈코 스 : 주차장~탐방소입구(2.0Km)~갈림길(0.4Km)~무장사지(2.0Km)~무장봉(3.0Km)~갈림길(3.1Km) / 약 10.5Km / 약 5시간(휴식시간 포함) ▼은빛물결 무장산(봉)은 태종무열왕이 투구와 병기 등을 묻었다하여 지어진 이름이다 ▼무장봉 안내도(클릭시 확대) ▼경주시 암곡동 산골짜기에 있는 절터로, 통일신라시대 사찰 무장사(鍪藏寺)가 있던 곳이다. 무장사는 신라 원성왕(元聖王)의 아버지 김효양(金孝讓)이 지은 절로,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전쟁에 지친 태종무열왕이 투구와 병기 등을 묻은 골짜기에 지은 절이라서 무장사라고 불렀다 한다.       ▼거북모양의 받침대와 상단만 있던 이곳에 없어진 비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