◈일 자 : 2015. 10.31(토)
◈대상지 : 운주사지
◈소재지 : 전남 화순군 도암면
▼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는 나지막한 야산 분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이다.
▼운주사로 들어가는 남쪽 골짜기의 첫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,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아래층 기단을 삼고 그 위로 윗층 기단을 쌓은 후 9층에 이르는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.
▼현재 돌부처 70구와 석탑 18기만이 남아 있으나, 조선 초기까지는 천 여 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.
▶홀쭉한 얼굴형에 선만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눈과 입, 기다란 코, 단순한 법의 자락이 인상적이다. 민간에서는 할아버지부처, 할머니부처, 남편부처, 아내부처, 아들부처, 딸부처, 아기부처라고 불러오기도 했는데, 마치 우리 이웃들의 얼굴을 표현한 듯 소박한 부처 조각상이다.
▼(북두)칠성바위
▼칠성바위에서 바라본 운주사지의 탑
▼운주사에는 누운 부처(와불)가 있어 유명하다. 도선이 천불천탑을 하룻밤에 세울 때 맨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켜 세우려고 했는데, 공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닭이 울었다고 거짓말을 하여 불상을 세우지 못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
▶운주사의 좌불은 비로자나부처님이고 옆에 입상은 석가모니불이다. 그리고 이 두 분을 지키는듯 아래 서있는 노사나불(머슴부처, 시위불, 상좌불)도 옆에서 떼어내 세운 것이다.
▼운주사지에 펼쳐진 석탑
▼석불보감은 부처를 모시기위해 만든 방이라 한다.
▼원형다층석탑의 기단은 2단의 둥근 바닥돌에 높직한 10각의 돌을 짜올리고 그 위로 16장의 연꽃잎을 장식한 돌을 올려 마무리하였다.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모두 원형이고, 층마다 몸돌 측면에 2줄의 선이 돌려져 있다. 현재 남아 있는 것은 6층 뿐이나 원래는 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.
▼운주사지의 가을
▼운주사지에 펼쳐진 석탑
'잘살자산악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룡산-송년산행 (0) | 2015.12.26 |
---|---|
구만산-밀양의 작은 설악산 (0) | 2015.11.17 |
변산반도-국립공원 관광지 (0) | 2015.11.08 |
능가산 관음봉-변산 국립공원의 바위산 (0) | 2015.11.08 |
내장산-단풍거리를 잘가꾼 내장사 (0) | 2015.11.07 |